월급날이 25일 10일로 나뉜 이유?

월급날이 25일 10일로 나뉜 이유

 

월급날이라면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손꼽아 기다리는 날인데요. 월급날은 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데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개인의 경제적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런데 왜 1일에 월급을 주지 않고 10일, 25일 등 회사마다 어중간한 날에 월급을 주는 걸까요? 오늘은 월급날을 이렇게 정한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이정보가 필요하신가요!? 

 

 

 

 

월급날이 대부분 25일로 정한 이유

 

일단 월급날이 25일로 대부분 정해진 기간은 엄청 오래되었습니다. 

 

특히 과거 대다수의 기업이 '25일'을 월급날로 채택한 이유는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1899년, 고종 황제는 우리은행의 전신인 대한천일은행을 설립하게 되는데, 이 은행은 매달 25일에 직원들에게 월급을 줬습니다.

 

이 이유는 간단하다고 합니다. 그때당시 일본 은행들이 월급날을 25일로 정해놓았기 때문입니다.

 

일본 은행들은 25일에 맞춰 현금을 준비해 두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관행은 자연스럽게 기업들로 확산되었습니다.

 

 

일본 은행들이 25일을 선택한 이유

일본 은행들이 25일을 월급날로 지정한 이유는 용이한 계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컴퓨터 전산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은행은 주판을 사용해 돈을 계산했습니다.

 

0이나 5가 들어간 날짜에 맞추면 계산이 편리했기 때문에, 은행은 매월 10일에 결산을 끝내고, 25일에 월급을 지급했습니다.

 

현재의 월급날

 

1980년대 초반, 은행들이 온라인 전산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월급봉투는 사라지고 월급날도 다양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25일 또는 10일을 월급날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월급날의 차이: 25일 vs 10일

그렇지만 모든 기업들이 25일이 아닌데요.

 

그렇다면 현재는 전산 시스템 도입이 있어 지급과 계산이 편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5일과 10일로 지급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월급날이 25일인 경우

월급날이 25일인 경우, '후지급 + 선지급' 방식이 적용되는데요.

 

이 방식은 근로자가 이미 일한 날에 대한 급여와 앞으로 일할 날에 대한 급여를 모두 포함하여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25일에 지급되는 월급은 이전 달 26일부터 이번 달 25일까지 일한 날에 대한 급여를 의미합니다.

 

즉, 실제로 일한 날에 대해 후지급하는 것입니다.

 

25일부터 말일까지 남은 5일에 대해서는 선지급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아직 일하지 않은 날에 대한 급여를 미리 지급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대기업 등 자금 여유가 있는 회사들이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자금 관리에 있어 유연성을 갖출 수 있습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미리 급여를 받을 수 있어 경제적 계획을 세우기 더 수월합니다.

 

하지만 자금이 유용성이 부족한 기업들에게는 선지급을 위한 자금을 미리 준비해야 하므로, 자금 관리가 상대적으로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 부분을 좀 더 해결하고자 10일이나 20일에 지급하는 방식이 나오게 된 거죠.

 

 

월급날이 10일인 경우

월급날이 10일인 경우, '후지급'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 방식은 한 달 전체에 대한 급여를 다음 달에 지급하는 방식인데요.

 

예를 들어,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일한 급여를 2월 10일에 지급합니다. 즉, 한 달 전체 일한 후 그다음 달 10일에 급여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중소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데요. 장점을 보자면 기업 입장에서 자금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특히, 대금 결제가 늦어지는 경우에도 급여 지급 일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급여를 늦춰 지급함으로써 생긴 여유 자금을 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차입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정 비용 정산이 복잡하고 중간 소비가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 그리고 회계 정산 기간이 짧아져 급여 지급이 지연될 가능성이 조금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의 월급날

공무원의 월급날은 직군별로 다양합니다.

 

군인은 10일, 교육공무원은 17일, 행정공무원은 20일, 기타 기관 공무원은 25일에 월급을 받습니다.

 

공무원의 경우도 중소기업과 비슷한 상황처럼 과거 나라 금고에 돈이 많지 않았던 시절, 한꺼번에 많은 돈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라고 하네요.

 

1월 월급과 미사용 연차수당

특히 1월 월급에는 설 연휴 상여금이나 미사용 연차수당이 함께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일한 후에 받을 수 있는 유급휴가로,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연차수당으로 지급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유급휴가로 인정받아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받게 됩니다.

 

외국의 월급날: 주급제

미국에서는 보통 주급제로 월급을 지급합니다.

 

격주(Bi-Weekly)와 월 2회(Bi-Monthly) 지급 방식이 있으며,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매월 1일과 15일, 또는 15일과 30일에 월급을 줍니다.

 

호주, 뉴질랜드 등도 주급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생산직과 현장 노동직이 주급제로 급여를 받습니다.

 

 

마무리

월급날은 직장인들에게 중요한 날이며, 그 배경에는 다양한 역사적, 경제적 이유가 다양하게 섞여 있죠.

 

사실 이런 것들은 중요하지 않죠. 월급만 제때 들어오고, 많이 주면 되니깐요!

 

앞으로도 월급날을 기다리며, 즐겁고 보람찬 직장 생활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